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5

[혁명의 러시아사] 표트르 대제의 유럽화 정책 I. 근대 러시아의 탄생 표트르 대제 이전의 러시아 표트르 대제의 유럽화 정책 예카테리나 여제의 개혁 정치 ※ 전체 목차 및 참고문헌 보기 17세기 러시아의 대외 정책은 매우 폐쇄적이었다. 차르와 정부는 무엇보다 자국민들이 외국인과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는 데 힘썼다. 당시 러시아 대도시 근처에는 외국인 마을이 세워지곤 했는데, 이는 자국민들이 외국인과 직접 만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였다. 이런 정책은 상당히 효과가 있었는지 당대 러시아 국민들은 외국인을 매우 두려워하고 배척했는데, 외국인이 방문한 마을에선 집안 창문을 모두 열어 환기한 다음 신부에게 다시 세례를 받을 정도였다고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위에 오른 표트르는 당시 국민들로서는 매우 충격적인 행동을 감행하는데, 바로 유럽으로 유학을 떠난 것.. 2023. 7. 19.
[혁명의 러시아사] 표트르 대제 이전의 러시아 I. 근대 러시아의 탄생 표트르 대제 이전의 러시아 표트르 대제의 유럽화 정책 예카테리나 여제의 개혁 정치 ※ 전체 목차 및 참고문헌 보기 세계사에서 러시아가 가지는 의미는 게르만 왕국에 미치지 못한다. ─ 르네 데카르트(1596~1650) ─ 17세기 초의 러시아는 이미 유라시아 대륙을 잇는 세계에서 영토가 가장 넓은 국가였지만, 하나의 폐쇄된 국가에 불과했다. 러시아는 내륙 국가다.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북극해와 태평양은 혹한 때문에 항해를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고, 발트 해로 향하는 길목에는 스웨덴이, 흑해로 향하는 길목에는 투르크가 버티고 있었다. 러시아와 유럽이 연결되는 길을 직접적으로 차단해버린 이 두 나라는 걸핏하면 러시아를 침략해 사람들을 죽이고 약탈을 일삼았다. 당시 유럽에서 러시아에 대.. 2023. 7. 11.
[혁명의 러시아사] 목차와 참고문헌 ※ 이 글은 연재 시리즈, "혁명의 러시아사"의 전체 목차와 참고문헌을 별도 게시물로 분리한 것입니다. 각각의 연재글은 게시 후 목차에 링크됩니다.    I. 근대 러시아의 탄생표트르 대제 이전의 러시아표트르 대제의 유럽화 정책예카테리나 여제의 개혁 정치 II. 러시아 제국의 굴절조국전쟁과 데카브리스트의 난크림 전쟁의 패배대개혁과 농노 해방러시아에서 봉건제로부터 자본주의로의 이행 III. 혁명을 향한 여정산업화의 물결과 이상한 자본주의나로드니키의 사회주의 혁명1905년의 '리허설'러시아에서 프롤레타리아 계급의 형성 IV. 전제정의 최후스톨리핀의 개혁 정책부르주아 혁명을 일으키려는 볼셰비키와 멘셰비키트로츠키의 연속혁명론2월 혁명 V. 모든 권력을 소비에트로!4월 테제국제주의와 세계혁명제국주의: 자본주의의 .. 2023. 7. 4.
[독일 문학] 베르톨트 브레히트, 「노동자가 의사에게 하는 말」 노동자가 의사에게 하는 말 베르톨트 브레히트, 『스벤보르 시편』, 1939. 우리는 무엇이 우리를 아프게 만드는지 압니다! 우리가 아플 때마다 사람들은 선생님이 우리를 낫게 만들 수 있는 사람이라고 합니다. 지난 십 년 동안 선생님께선 사람들의 돈으로 만들어진 근사한 학교에서 사람들을 치료하는 법을 배우셨다고 또 선생님의 지식을 위해 돈을 쓰셨다고 그렇게 들었습니다. 그렇다면 선생님께선 저희를 낫게 하실 수 있겠지요. 저희를 치료하실 수 있나요? 누더기 옷이 벗겨진 채 선생님 앞에 서면 선생님은 저희의 벗은 몸을 구석구석 진찰하십니다. 우리가 아픈 이유를 찾으시려면 누더기를 한번 흘끗 보는 것이 더 나을 겁니다. 우리의 몸이나 옷이나 같은 이유 때문에 닳으니까요. 제 어깨가 아픈 것이 습기 때문이라고 그.. 2023. 7. 3.
무엇이 진정한 법인가? ― 자연법론과 법실증주의 진실된 법이 존재하는데, 그것은 모든 존재들에 퍼져 있고 언제나 자기 자신과 일치하며 결코 사멸하지 않는 자연에 부합하는 공정한 이성이다. 그것은 우리가 우리의 의무를 다하도록 요구하며 우리가 기만적인 행위를 하지 못하도록 금한다. ― 키케로, 자연법에 대하여 ― 왜 법을 지켜야 할까? 이에 대해선 다양한 논의가 있어 왔고 또 앞으로도 계속되겠지만, 이 질문에 대답하기 전에 먼저 한 가지 전제를 지나야 한다. 법은 우리 행위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준거가 될 수 있다. 그렇다면 법의 옳고 그름은 어떻게 판단할 수 있는가? 자연법론: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보편타당한 법이 존재한다. 자연법론은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이 될 수 있다. 자연법이란 실정법과 비교되는 의미에서 법이 '어떠하여야 하는가', '어떠한 법.. 2023. 6. 25.
전서 비둘기 이야기: 비둘기, 전쟁 훈장을 받다 들어가며 전서 비둘기와 관련된 기록 훈장 받은 비둘기 전서 비둘기를 잡아라! 나오며 1. 들어가며 사람과 친밀한 동물이라고 하면 흔히들 개와 말을 꼽는다. 하지만 수십여 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비둘기가 이 자리에 있었을 것이다. 오늘날에야 도심의 흉물 '닭둘기'로 유해야생동물로 지정되기까지 했지만, 한때 평화와 우정의 상징으로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아왔기 때문이다. 이런 상징이 되기 전에도 비둘기는 특유의 귀소본능과 방향감각으로 우편 배달부 역할을 톡톡히 해내며 융숭한 대접을 받아 왔다. 비둘기는 최고 70km을 넘나드는 시속으로 500~600km를 비행할 수 있다. 그래서 무전과 전화가 없던 시절 잘 훈련된 비둘기는 특히 전쟁에서 통신원 역할을 톡톡히 수행했다. 이런 비둘기들을 '전서 비둘기(전서구)'.. 2023. 6. 24.
[민주주의의 반대자들] 6. 나오며: 그들은 왜 민주주의를 비판했나? 플라톤: 민주주의는 나쁜 정부를 산출하게 된다 엘리트주의자: 민주주의는 불가능한 환상이다 고전적 자유주의자: 민주주의는 개인의 자유에 대한 적이다 가세트·탈몬: 대중정치는 전체주의로 귀결된다 포퓰리즘과 민주주의 나오며: 그들은 왜 민주주의를 비판했나? 이번 시리즈, "민주주의의 반대자들"에서는 민주주의에 대해 직접 반대하거나 중대한 우려를 제기한 여러 사상가들의 의견을 살펴보았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전 시리즈에서 언급한 두 가지 사실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첫째, 그 어떤 사상과 이론도 인간을 해롭게 하기 위해 존재하지는 않는다. 극단적인 계급사회와 전체주의에 대한 추구조차 당사자들에겐 그것이 인간을 더 행복하게 해 줄수 있다고 믿기에 주장되었던 것이다. 이는 민주주의가 .. 2023. 6. 18.
[후일담] 내가 경기도 도청의 김문수다! 「Your Name Is」 ※ 이 글은 2011년 12월 이글루스 블로그에 게시한 글에 후일담을 더해 재게시한 것입니다. MBinem 사단이 돌아온다! Your Name Is (feat. 장난 전화에 시달리는 소방관) 문수넴, 나는 경기도 도청의 김문수다, 2011. [Hook] 여보세요 김문숩니다 여보세요 김문숩니다 여보세요 김문숩니다 경기도지사 김문숩니다 여보세요 김문숩니다 여보세요 김문숩니다 여보세요 김문숩니다 경기도지사 김문숩니다 여보세요 김문숩니다 여보세요 김문숩니다 여보세요 김문숩니다 경기도지사 김문숩니다 여보세요 김문숩니다 여보세요 김문숩니다 여보세요 김문숩니다 경기도지사 김문숩니다 [Verse 1] 남양주 소방서입니다 나는 여 도지사 김문숩니다 네 소방섭니다 말씀하십쇼 이름이 누구요 이름이 누구요 이름이 누구냐고 이.. 2023. 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