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논평10

[후일담] "IMF는 국민 과소비 탓 교과서" 비판 글에 대한 오해와 해명 ※ 이 글은 2010년 9월 이글루스 블로그에 게시한 글에 갱신된 사실을 반영하고, 후일담과 새로운 편집을 더해 재게시한 것입니다. 들어가며: IMF의 원인이 국민 과소비 때문이라는 교과서 의혹: 왜곡된 정보이다. 해당 사진은 교사용 교과서이다. 의혹: 의도적으로 정보를 왜곡하고 있다. 교과서는 국가, 기업, 국민의 책임을 모두 다루고 있다. 오도: 외환위기의 원인은 재벌의 방만한 경영, 국가의 외환관리 실패, 금융회사의 무분별한 대출뿐이다. 오도: 해당 교과서는 이명박 정부와 뉴라이트가 왜곡한 교과서다. 후일담: 10년이 더 지난 지금, 문제는 해결되었을까? 0. 들어가며: IMF의 원인이 국민 과소비 때문이라는 교과서 2010년 9월, 나는 한 소셜 미디어에 아래와 같은 글을 올렸었다. 초등학교 5학.. 2023. 5. 7.
이글루스는 왜 문을 닫게 되었을까: 블로그 서비스의 과거와 미래 이글루스를 떠나며 블로그, 그리고 블로그 서비스의 탄생 포털과 한몸이 된 블로그 이글루스의 대장정 블로그의 전성기는 언제죠? 블로그 시대의 종말? 강한 자가 살아남는 게 아니라 살아남는 자가 강한 것이다 포털과 화학적으로 융합된 네이버 블로그 이글루스는 왜 서비스를 종료하게 되었을까? 블로그, 그리고 블로그 사업의 미래 블로그 서비스의 현재: 어떤 서비스를 선택해야 할까? 이글루스의 마지막을 바라보며 미리 세 줄 요약 ① 1990년대 중반, 개인 홈페이지 일기로 시작된 weblog는 IT 버블을 거치며 인기 서비스로 성장한다. 회원과 콘텐츠 증가를 원했던 포털 사업자들은 블로그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도입했고, 점차 둘은 한몸이 된다. 2000년대에 접어들며 블로그 서비스는 초기 형태의 소셜 미디어로 진화했.. 2023. 4.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