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본주의4

[혁명의 러시아사] 산업화의 물결과 이상한 자본주의 III. 혁명을 향한 여정산업화의 물결과 이상한 자본주의나로드니키의 사회주의 혁명1905년의 '리허설'러시아에서 프롤레타리아 계급의 형성※ 전체 목차 및 참고문헌 보기  알렉산드르 3세(재위 1881~1894년) 시기 러시아는 유례없는 급격한 발전을 이룩한다. 석탄 생산량은 두 배가 증가했으며, 강철은 네 배 증가했다. 철도는 87%가 증설됐고, 공업 생산 성장률은 7.5%에 이르렀다. 재무장관이었던 비테를 위시로 대대적인 보호 무역 정책이 이루어졌으며, 국내 산업이 크게 발전하기 시작한다. 차르 정부가 가장 큰 관심을 기울인 부분은 중공업이었다. 특히 금속 산업과 연료 산업에 전폭적인 지원이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필요한 재원은 농민들에게 무거운 간접세를 부과하고, 외국 자본을 끌어들이는 방법으로 조.. 2025. 1. 31.
[혁명의 러시아사] 러시아에서 봉건제로부터 자본주의로의 이행 II. 러시아 제국의 굴절조국전쟁과 데카브리스트의 난크림 전쟁의 패배대개혁과 농노 해방러시아에서 봉건제로부터 자본주의로의 이행※ 전체 목차 및 참고문헌 보기  러시아에서 봉건제로부터 자본주의로의 이행에 있어 서구와의 차이점이자 가장 핵심적인 사항은 자본주의가 봉건제와 평행적으로 발전해 왔다는 점이다. 러시아의 봉건제적 경제체제는 19세기 중반까지도 지속되었으며, 자본주의적 발전의 토대가 형성되는 시기에 봉건제도 함께 강화되어 왔다. 16세기 후반에 이르면 모스크바를 중심으로 수공업을 중심으로 한 초보적인 수준의 공장제수공업(매뉴팩처)이 출현하기 시작한다. 또한 이 시기 농업 지대가 현물지대에서 화폐지대로 바뀌고 있었으며, 소금 공장 등의 전통적 작업장을 중심으로 임금 노동자의 숫자도 증가한다. 이는 서구.. 2024. 6. 12.
[서평] 『미국 패권의 몰락』(2004): 세계체제론으로 보는 미국 헤게모니의 흥망성쇠 미리 세 줄 요약 ① 『미국 패권의 몰락』(2004)은 '세계체제'라는 관점에서 미국 헤게모니의 성립과 쇠퇴를 진단한다. 저자 월러스틴에 따르면 공산주의에 대항한다는 이데올로기적 정당성을 부여했단 점에서, 과거 소련 역시 미국 주도 세계체제의 일원이었다. ②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미국의 몰락과 중국의 부상이 점차 가시화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이들 G2의 경쟁을 '누가 헤게모니를 차지할 것인가?'로 인식하지만, 저자의 진단을 수용한다면 완전히 새로운 세계체제의 출범을 예상해볼 수도 있다. ③ 세계체제론에 기반한 헤게모니 분석은 많은 것들 명쾌하게 설명해주지만, 동시에 여러 가지 새로운 의문을 낳는다. 다만 그런 의문조차 이행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유의미한 문제 제기가 될 것이라 믿는다. 들어가.. 2024. 2. 24.
[서평] 『악마와 검푸른 바다 사이에서』(2001): 하층 선원을 통해 보는 자본주의 발전 몇 번의 이사를 거치며 집에 있던 책을 거의 다 처분했다. "거의 다"라는 건 처분 안 한 책이 있단 건데, 주로 선물받았거나 특별한 가치가 있어 아끼는 책이다. 이 책, 『악마와 검푸른 바다 사이에서』(2001)는 후자의 경우 중에서도 독보적으로 아끼는 책이다. 책의 존재를 절판된 뒤에 알게된 터라, 2년 동안 중고책방을 수소문해 겨우 상태 좋은 단행본을 구할 수 있었던 탓도 있다. 하층 선원과 자본주의 발전 이 책은 대항해시대가 저물고 유럽이 제국주의로 접어들던 18세기 무렵 하층 선원들의 모습을 여러 관점에서 그리고 있다. 그중 핵심은 세계 노동자로서, 그리고 민주주의의 맹아로서 모습이다. 이러한 접근은 선원과 바다를 그린 여타 콘텐츠에서 잘 드러나지 않는 내용이라 그 자체로도 무척 흥미롭지만, 무.. 2024. 2. 18.